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1

빅블러(Big Blur) 현상 : ICT + 제조 융합 / 자율주행, 전기차, 스마트 기기 등 빅블러(Big Blur) : 기존 제조업, 사업과 정보통신기술(OCT) 간 융합으로 두 산업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현상 흔히, 자율주행차와 전기차, 스마트 기기 등에 대해 빅블러 현상이라고 부릅니다. 애플이 애플카 생산을 고민하거나, 구글이 자율주행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가장 대표적입니다. 최근, 현대차가 차량용 반도체 생산을 고민하는 것 또한 이와 같습니다. 빅블러(Big Blur) 현상은 ICT 회사로서는 기회가 될 수 있지만, 기존 제조업 입장에서는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기존 제조업 입장에서도 새로운 변화를 준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국내 제조업계는 빅블러 현상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으며, 정책적 지원 또한 훌륭한 편입니다. 코로나19 전후, 빅블러(Big Bl.. 2021. 6. 15.
SMR 원전 관심 높일 때 … 한미 원전 협력 핵심된다? 소형 원자로, 소형 원전 사업에 대한 관심을 열어둘 필요가 있습니다. 소형 원자로, SMR 이라고도 부릅니다. SMR : 소형 모듈 원자로 : Small Modular Reactor 전 세계에서 SMR 제조 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몇 안 됩니다. 미국에서는 BWX Technology 가 대표적이며, 국내에서는 두산중공업이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보더라도 SMR 핵심 기술 보유사는 위 2곳으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https://news.v.daum.net/v/20210522111705415 2021. 6. 15.
G7 정상회의, 국가 : 2021년 영국 콘월 G7 회의 요약 2021년 G7 정상회의가 열렸습니다. 영국이 의장국이며, 장소는 영국 콘월입니다. 이번 G7 에는 한국이 초청받았습니다. 한국이 G7 정상회의에 초청받은 초청국임에도 불구하고, G7 확대회의에서의 배석이 훌륭해보입니다. 단체 사진에서의 배석이라든지, 회의 배석 또한 상대적으로 중심에 둔 모양새입니다. G7 정상들간의 어느 정도 합의가 있어야 가능한 배치입니다. 이것만으로도 G7 정상회의에서의 한국의 입지, 위상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의장국 : 영국 G7 :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 EU 2021년 초청국 : 대한민국, 인도,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영국 : 보리스 존슨 총리 미국 : 조 바이든 대통령 일본 : 스가 요시히데 총리 독일 : 앙겔라 메르켈 총리 프.. 2021. 6. 13.
배당주, 배당투자 비중과 안전 투자의 의미 #shorts_투자 배당이란? 주식을 가진 주주에게 기업이 이익을 분배하는 것입니다. 즉, 투자자에게 배당을 한다는 것은 투자에 대한 감사함, 소정의 대가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기업의 이익 성장 가능성, 기업의 주주 환원 정책 등을 고려하여 투자하기도 합니다. 이를 배당 투자라고 부르고, 배당주 투자가 갖는 매력도,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배당주, 배당투자는 그 자체로 안전 투자의 의미가 될 수 있습니다. 기업이 배당을 줄 수 있다는 것은? 배당을 지급할 수 있는 현금, 현금흐름이 존재함을 의미합니다. 이는 실적이 잉여 현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만큼 기업의 비용이 적고, 경영이 안정적이라는 의미를 갖기도 하지요 :) 이런 회사에는 일정 비중을 투자하는 것이 맞습니다. 금융시장, 증시 변동성이 커.. 2021. 6. 13.
얀센 백신 맞고, 타이레놀(얀센) 섭취, 얀센 주식? 얀센 백신을 맞았습니다. 2021년 6월 10일, 오전 10시 55분 접종했습니다. 얀센. 접종 후, 9시간 뒤부터 얀센에서 만든 타이레놀을 섭취하고 있으니, 얀센으로 하루를 보낸 셈입니다. 얀센의 모 회사는 Johnson & Johnson 입니다. 존슨앤존슨. 티커명, Ticker. JNJ 입니다. 미국주식입니다. 얀센 백신을 만든 얀센(Janssen) 은 벨기에의 회사입니다. 모 회사가 존슨앤존슨(JNJ)입니다. 존슨앤존슨(JNJ) 은 미국을 대표하는 헬스케어 회사이며, 시총 규모로 화이자보다 큰 회사입니다. 사실, 백신 자체는 큰 돈이 되지 않습니다. 백신을 생산하는 화이자(PFE), 모더나(MRNA), 아스트라제네카(GBX, 영국) 모두 백신 이익 효과는 의문입니다. 암 치료제, 난치병 치료 등과.. 2021. 6. 12.
미국 물가상승률 5%, 전년 대비 : 테이퍼링, 금리인상 이슈 미국 물가상승률, 전년 대비 5% 상승했습니다. 작년 코로나19 상황이 그만큼 심각했다고 볼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에 접어들었다는 평가 또한 큽니다. 물가 관리를 위한 테이퍼링, 금리 인상 이슈가 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근원 물가상승률, Core CPI 는 +3.8% 를 기록했습니다. 1992년 이후, 최대폭 상승입니다. 투자 대응, 조금은 보수적으로 대응할 때 :)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이제 금리인상, 테이퍼링 예상 시점을 조금씩 앞당기셔야 합니다. 금리인상 시점을 내년 상반기, 테이퍼링 시점을 올해 9월로 보수적으로 잡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IT 성장주 → 가치주, 우량주 비중을 높이는 방향의 포트폴리오를 권유드립니다. 물론, 물가상승으로 인한 테이퍼링, 금리인상이 무조건적인 시장 위험으로 작.. 2021.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