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트인베스트먼트/짧은생각

한국 GDP 순위, 9위(OECD) : 단군 이래 최대 경제 규모 진입

by 토트_THOTH 2021. 4. 4.

한국 GDP 순위가 OECD 전망치 기준으로 9위에 올랐습니다. 세계 9위.

단군 이래 최대 경제 규모에 진입한 셈입니다.

GDP 순위가 가장 높았던 시기는 2018년, 10위였습니다.

그 이전에는 2005년? 2006년? 시점이었고, 당시 GDP 순위 11위에 랭크되었습니다.이후, 15위까지 떨어지다가, 다시 9위로 올라서네요 :)

 

1위 미국2위 중국3위 일본4위 독일5위 영국6위 프랑스7위 인도8위 이탈리아9위 한국10위 캐나다

 

8위가 이탈리아입니다. 의미하는 바가 큽니다.8위 이내 국가들은 대부분 전통적 강국입니다. 유럽 선진국 그룹이자, 역사적 경제대국에 해당합니다.일본 또한 17세기 이래로 은 생산, 교역 기반의 경제대국이었고, 시장 경제 기반을 가진 나라였습니다.이 순위에 한국이 오른 것은 상당한 의미를 가집니다.캐나다가 미국과 이웃하면서 얻는 교역, 천연자원(석유, 가스, 목재 등) 효과가 상당히 큼에도 불구하고?이번 순위에 한국이 캐나다를 앞지른 것은 인적자원으로의 승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개도국과 비교해서, 한국이 얼마나 잘 사는지 보라!"이제 이런 말은 통하지 않습니다.

 

"우리 앞의 이탈리아를 넘자!"이것이겠지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6&aid=0001793104

 

5년간 한국 집값 상승률 OECD국가 중 뒤에서 6번째[부동산360]

[헤럴드경제=박일한 기자] 한국이 OECD(경제개발협력기구) 국가 중 비교적 안정적인 집값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변동폭도 작고, 소득대비 집값 오름폭은 오히려 작아진 것으

news.naver.com

알고 보니, 5년 동안의 한국 부동산 상승률이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부동산 규제 덕분이겠지요?

제가 한국 부동산에 대해서는 꾸준히 말씀드렸습니다.한국 부동산은 현 시점에서 아무리 올라도 버블일 수 없고, 인플레 수준에 근접하기 어렵다고.

 

"평균의 착시 효과, 대도시 부동산 중심으로 지표를 내야 한다." 라고 하시는 분들이 있으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은 옳지 않습니다.

 

미국은 그랜드 캐년 땅값이 올라서 저렇게 높은걸까요?

러시아는 시베리아 동토 땅값이 올라서 저렇게 높은걸까요?

아닙니다. 오히려, 도시화율이 높은 한국이 평균 상승률에서 불리합니다.

즉, 부동산 가격 상승은 전 세계적인 현상인 셈입니다.

 

경제, 금융에 대한 분석, 통계 해석은 철저히 객관성을 가져야 하고, 중립성을 가져야 합니다.

아직은 잘 흘러가고 있으니, 한국 경제를 너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가 북한에 넘어갈 일이 없고, 베네수엘라가 될 일이 없으니, 걱정하지 마십시오 :)

 

토트 드림.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